Routing Information Protocol Version 2


 

1. Classless
업데이트 정보 안에 SubnetMask가 포함
Subnetting , VLSM을 사용하여 구축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 가능
CIDR기능을 지원한다.
Class가 단절된 네트워크 구간에서도 업데이트 및 통신이 가능하다.

2. 업데이트 방식 : 라우팅 업데이트 시 UDP 520번을 사용한다.
출발지 IP 주소는 업데이트 시 송신하는 Interface의 IP 주소를 사용하며 목적지 IP 주소는 Multicast [224.0.0.9]를 사용한다.

MD5 HASH 알고리즘을 사요한 인증 기능을 지원한다. (Text기반 인증은 RIPv1 , RIPv2 모두 지원)

위의 사항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기능은 RIPv1과 동일하다.

 

 

Router의 동작원리



Router는 Layer 3 계층을 대표하는 장비이며 자신이 포함되지 않은 외부 네트워크로 통신 시 사용되는 장비이다.
통신 Protocol은 IP를 사용하며 주소는 IP Header에 포함된 IP address를 사용한다. (10진수 32bit의 주소 체계)

Router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Layer 3 Header의 목적지 IP 주소를 근거로 Routig table을 참조하여  Next-hop까지 전파
Router는 Routing table에 등록되지 않은 네트워크 정보는 Drop을 실시한다.
Router는 목적지까지의 통신을 책임지지 않는다. (Next-hop까지만)
Router는 직접 연결된 Local 네트워크 정보는 가장 신뢰적이기 때문에 Connected로 경로정보 학습 실시
Router는 직접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네트워크 정보는 Static, Dynamic Routing Protocol을 사용하여 경로정보 학습 실시

 


Router 경로정보 학습


 

경로정보 학습이란 목적지 네트워크 정보를 학습하는 행위
경로정보 학습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Routing protocol 안에  반드시 Next-hop이 보장되어야 한다.

 


 

Router의 기본 Mode


1. User Mode
해당 Router에 접속은 Console , AUX , VTY(Telnet , SSH)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위의 방식으로 접속을 실시하게 되면 기본적으로는 User mode로 접속이 실시된다.

Router>  <--- User mode

CISCO Router는 Privilege Level을 사용하여 권한을 적용한다. (Privilege Level = 0 ~ 15)
User mode는 Privilege Level이 1로 제한되기 때문에 해당 장비의 기본적인 상태 확인만 가능하다.


2. Privilege Mode(입력 불가 출력만 가능)
User mode에서 정보 확인 및 설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상위 Mode로 전환을 실시해야 한다.

Router> enable
!
Router#  <-- Privilege mode

1) 정보 확인
show : 정적인 정보 확인
debug : 동적인 정보 확인

2) 저장 [RAM ---> NVRAM]
Copy

3) 삭제
RAM  : reload
NVRAM  : erase
Flash  : delete

4) 통신 및 접속
IP(비연결형 프로토콜이므로) 네트워크 구축 후 통신 유무가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ICMP를 사용한 
통신 연결 확인
Telnet , SSH 등을 사용한 원격 접속


3. Global Mode
Router는 RAM에 저장된 Command를 기반으로 동작을 실시하는 장비이며
Global mode에서 설정한 모든 command는 실시간으로 RAM에 저장된다.

Router# configure terminal (conf t)
!
Router(config)#   <-- Global Mode
!
Router(config)# exit : 이전 Mode로 전환

 

 


 

RAM , NVRAM




Router는 RAM에 기반하는 장비로써 설정한 모든 Command는 RAM에 저장이 실시되며
해당 Router는 RAM에 설정돼  Commnad에 의해 동작을 실시한다.

 

  RAM NVRAM
특징 휘발성 메모리 비 휘발성 메모리
확인 show running-config show startup-config
저장 실시간 저장 [Enter]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삭제 reload erase startup-config

                                  

                      

CIDR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무엇인가?


 


IP address 요약

 

- IP 주소의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Subnetting , VLSM을 사용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를 작은 단위의 네트워크로 분할하여 사용

- Router는 모든 네트워크 정보를 Routing Table에 네트워크 단위로 등록하기 때문에

Subnetting , VLSM을 사용하여 나뉜 모든 네트워크 정보를 등록하기 때문에
Memory 사용량이 증가하며 Routing Table을 참조하는 Delay도 증가한다.

 

- Subnetting , VLSM을 사용하여 나뉜 네트워크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하여 관리하는 기능 주소 요약이라고 한다.

예제 1) R1은 자신의 Local 네트워크인 172.168.0.0/24 ~ 172.168.3.0/24 네트워크 정보를
나의 네트워크 정보로 요약을 실시하려고 한다.

     172.168.0.0/24
             ~
     172.168.7.0/24                  S0   S1
          R1----------------------R2----------------------R3

-172.168.0.0/22  Serial 0


-10101100.10101000.000000 00.00000000
-10101100.10101000.000000 01.00000000
-10101100.10101000.000000 10.00000000
-10101100.10101000.000000 11.11111111
------------------------------------
-11111111.11111111.111111 00.00000000  = 172.168.0.0  255.255.252.0 = 172.168.0.0/22


-172.168.000000 00.00000000
-172.168.000000 01.00000000
-172.168.000000 10.00000000
-172.168.000000 11.00000000
--------------------------
-255.255.111111 00.00000000  = 172.168.0.0  255.255.252.0 = 172.168.0.0/22


예제 2) R1은 자신의 Local 네트워크인 172.168.0.0/24 ~ 172.168.7.0/24 네트워크 정보를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로 요약을 실시하려고 한다.

     172.168.0.0/24
             ~
     172.168.3.0/24                  S0   S1
          R1----------------------R2----------------------R3


-172.168.00000 000.00000000
-172.168.00000 001.00000000
-172.168.00000 010.00000000
-172.168.00000 011.00000000
-172.168.00000 100.00000000
-172.168.00000 101.00000000
-172.168.00000 110.00000000
-172.168.00000 111.11111111
--------------------------
-255.255.11111 000.00000000  = 172.168.0.0  255.255.248.0 = 172.168.0.0/21


예제 3) R1은 자신의 Local 네트워크인 172.168.4.0/24 ~ 172.168.7.0/24 네트워크 정보를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로 요약을 실시하려고 한다.

-172.168.000001 00
-172.168.000001 01
-172.168.000001 10
-172.168.000001 11
-----------------
-255.255.111111 00 = 172.168.4.0  255.255.252.0


예제 4) R1은 자신의 Local 네트워크인 172.168.8.0/24 ~ 172.168.15.0/24 네트워크 정보를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로 요약을 실시하려고 한다.

-172.168.00001 000
-172.168.00001 001
-172.168.00001 010
-172.168.00001 011
-172.168.00001 100
-172.168.00001 101
-172.168.00001 110
-172.168.00001 111
----------------
-255.255.11111 000 = 172.168.8.0  255.255.248.0 = 172.168.8.0/21


예제 5) R1은 자신의 Local 네트워크인 172.168.0.0/24 ~ 172.168.10.0/24 네트워크 정보를
       하나의 네트워크 정보로 요약을 실시하려고 한다.

-172.168.0000 0000
-172.168.0000 0001
-172.168.0000 0010
-172.168.0000 0011
-172.168.0000 0100
-172.168.0000 0101
-172.168.0000 0110
-172.168.0000 0111
-172.168.0000 1000
-172.168.0000 1001
-172.168.0000 1010
         ~
-172.168.0000 1111
-----------------
-255.255.1111 0000 = 172.168.0.0  255.255.240.0

'Network > Over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우터(Router) 란?  (0) 2021.02.27
CDP(Cisco Discovery Protocol) 란?  (0) 2021.02.06
SubnetMask와 WildcardMask의 차이점  (0) 2021.02.03
VLSM 란?  (0) 2021.02.03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주소  (0) 2021.01.31

+ Recent posts